펀딩은 UTC 2:00, UTC 10:00 및 UTC 18:00와 같이 8시간마다 발생합니다. 해당 시간에 포지션을 보유하고 계신 거래자인 경우에만 지불하거나 지급을 받게 됩니다. 만약 이전에 포지션을 종료하신 경우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펀딩 지불 및 지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펀딩=포지션 금액 * 펀딩 비율
거래자의 포지션 가치는 레버리지와 관계 없습니다. 예를 들어, 귀하께서 100건의 BTCUSD 계약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해당 계약의 명목상의 가치에 대해 자금이 청구되거나 수령되게 되며, 이는 거래자께서 할당 한 마진이 기준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펀딩 비율이 양수(+)일 경우, 매수인이 매도인에게 지불하게 됩니다. 이와 반대(-)일 경우,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지불하게 됩니다.
펀딩 비율 계산
펀딩 비율은 금리 및 프리미엄/디스카운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비율은 무기한 계약이 거래되는 가격을 참조되는 기초 가격과 일치되도록 유지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약은 매수인과 매도인이 주기적인 이자를 교환하는 마진거래 시장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모방합니다.
금리 구성 요소
BigONE에서 거래되는 모든 계약은 기본 통화 및 가격제시 통화로 이루어집니다.
예를들어, BTCUSD의 경우 기본 통화가 BTC이며 가격제시 통화는 USD입니다. 금리는 이 2가지의 통화 간의 금리를 의미합니다.
금리 (I) = (가격제시 통화의 금리지수 - 기본 통화의 금리지수) / 펀딩 기간 일때,
기본 통화의 금리지수 = 기본 통화를 차용하는 금리
가격제시 통화의 금리지수 = 가격제시 통화를 차용하는 금리
펀딩 기간 = 3 (펀딩이 매 8시간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참조: 금리지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계약 세부정보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프리미엄/디스카운트의 구성 요소
무기한 계약은 시장 평균가에 대한 상당한 프리미엄 또는 디스카운트로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프리미엄 지수가 사용되어 다음 펀딩 비율을 계약이 이루어지는 수준과 일치하는 수준으로 높이거나 낮추게 됩니다. 각 계약의 프리미엄 지수는 특정 상품 별 계약 세부정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프리미엄 지수 (P) = ( Max( 0 , 영향 매수가 - 시장 평균가) - Max( 0 , 시장 평균가 - 영향 매도가)) / 현물 가격 + 시장 평균가에 사용된 공정 베이시스
영향 매수가 및 영향 매도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정가격 표시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최종 펀딩 비율 계산
BigONE은 (P) 및 금리 (I)를 매 분마다 계산하며, 이 후 8시간 시간가중평균가격을 수행합니다.
다음으로 8시간 금리, 프리미엄 / 디스카운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펀딩 비율이 계산됩니다. +/-0.05% 제어 장치가 추가됩니다.
펀딩 비율 (F) = 프리미엄 지수 (P) + clamp(금리 (I) - 프리미엄 지수 (P), 0.05%, -0.05%)
따라서, 만약 (I-P) +/-0.05%가 범위 이내이면 F = P + (I-P) = I. 즉, 펀딩 비율은 금리와 동일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된 펀딩 비율은 거래자의 포지션 값에 적용되어, 펀딩 타임스탬프에 지불 또는 지급받는 금액을 결정하게 됩니다.
펀딩 비율의 상한선
BigONE은 최대 레버리지가 문제 없이 활용될 수 있도록 펀딩 비율에 2가지 상한선을 설정합니다:
- 절대적인 펀딩 비율은 개시마진 - 유지마진의 75%로 제한됩니다. 개시마진이1%, 유지마진이 0.5%일 때, 최대 펀딩 비율은 75% * (1%-0.5%) = 0.375%입니다.
- 펀딩 비율은 펀딩 간격 사이의 유지마진에 75% 이상 변경될 수 없습니다.
펀딩 수수료
BigONE은 펀딩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모든 거래는 피어 투 피어 (peer-to-peer) 방식으로 직접 진행됩니다.
펀딩 비율의 예시
펀딩 비율의 계산 공식:
금리 (I) = (가격제시 통화의 금리지수 - 기본 통화의 금리지수) / 펀딩간격
프리미엄 지수 (P) = (Max(0, 영향 매수가 - 시장 평균가) - Max(0, 시장 평균가 - 영향 매도가)) /현물 가격
펀딩 비율 (F) = 프리미엄 지수 (P) + clamp(금리 (I) - 프리미엄 지수 (P), 0.05%, -0.05%)
아래는 다양한 금리 (I) 및 프리미엄 지수 (P)의 변화에 따라, 펀딩 비율 (F)이 어떻게 변동하는 지를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금리(I) |
프리미엄 지수(P) |
펀딩 비율(F) |
0.03% |
0.00% |
0.03% |
0.03% |
0.06% |
0.03% |
0.03% |
0.15% |
0.10% |
0.03% |
-0.05% |
0.00% |
0.03% |
-0.10% |
-0.05% |
0.10% |
0.06% |
0.10% |
0.10% |
0.15% |
0.10% |
0.10% |
-0.05% |
0.00% |
0.10% |
-0.10% |
-0.05% |
0.20% |
0.10% |
0.15% |
0.30% |
0.10% |
0.15% |
0.45% |
0.10% |
0.15% |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